'결막 부종'
안녕하세요? 건배사 입니다. 오늘 건강 관련 포스팅 에서는 '결막 부종' 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막 부종' 이란?

우리의 눈 부위 중 '결막' 이라는 부위에 마치 물집이 잡혀서 부어오르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결막 부종' 라고 하는데요, 먼저 결막 이라는 부위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눈의 검은 눈동자는 각막으로 덮여 있는데요, 이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눈꺼풀의 안 쪽 및 안구의 흰 부분은 결막이라는 얇고 투명한 점막으로 덮여 있는 형태입니다. 즉 안구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조직을 쉽게 말해서 결막 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결막이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 결막 부종인데 특히 흰자위를 덮고 있는 구결막이 부풀어 오른 경우를 결막 부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결막은 항상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지만 그만큼 염증성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고,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결막 부종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결막 부종의 원인 및 증상들, 치료법 등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막 부종' 원인

결막 부종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결막에는 림프액과 혈액이 순환할 수 있는 결막 혈관과 림프관이 있습니다. 이 혈관과 림프관이 순환하면서 필요로 하는 산소도 공급해 주고, 노폐물 배출도 돕게 됩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염증이 생기게 되면 결막의 혈관 벽이 손상을 입게 되고, 염증 반응으로 인하여 생긴 액체가 구결막의 아랫부분에 고여 물집처럼 잡히게 됩니다. 결막부종은 주로 알레르기성 결막염 때문에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꽃가루가 날리는 봄철에 결막 부종 환자분들이 늘어나게 됩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으로 인해 가려운 눈을 비비는 행동은 결막 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결막 부종의 원인으로는 눈 성형이 있습니다. 쌍커풀 뿐만 아니라 요즘에는 다양한 트임술 예를 들어 뒷트임, 밑트임 그리고 눈밑 지방 재배치 등을 하게 되면 눈 주변에 부종이 나타나게 됩니다. 눈 주변의 부종 또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염증을 유발하여 결막 부종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결막 부종' 증상은?
결막 부종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결막이 부풀어 오르면서 눈의 흰자위가 튀어나와 보이고,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심한 경우에는 눈이 잘 안 감기는 수도 있습니다. 또 증상이 심한 경우 부풀어 오르면서 검은자를 가릴 수도 있고, 눈을 뜨기가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결막 부종' 치료법

대부분 결막 부종 증상은 1~2 주 정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서 설명했다시피 결막 부종이 매우 심하여 시야를 가리거나 눈을 감거나 뜨기조차 어려운 상태가 아닌 한,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자연 치료 방법으로 관리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결막 부종 증상이 있는 경우 눈을 자주 깜빡여 줘서 눈이 건조하지 않게 해주고 또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안구를 촉촉하게 유지하도록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또 냉찜질을 해주셔도 결막 부종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데요, 눈 위를 압박하면 혈류 장애로 인해 결막에 고인 체액이 혈류로 돌아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온찜질은 좋지 않다고 하니 꼭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결막 부종의 원인이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의한 것이라면, 절대 눈을 손으로 비비지 않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눈이 가려워서 참기가 힘들다면 생리 식염수로 눈부분을 씻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 눈이 많이 부어서 보기가 흉해 안대 등으로 가리고 외출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오히려 2차 세균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또 결막 부종 부위를 손으로 계속 만지거나 터뜨리면 손으로 인해 세균 감염 위험이 높아지므로 가만히 두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에게 올 수 있는 눈곱감기 '아데노 바이러스' 증상들 (1) | 2023.10.27 |
---|---|
'편도암 초기증상' 편도암 발병 요인 및 예방법 (1) | 2023.10.26 |
당뇨만큼 위험하다는 '혈당 스파이크' 란? 혈당스파이크 자가진단법 (0) | 2023.10.24 |
'돌발성 난청 전조증상' , 돌발성 난청 특징 (2) | 2023.10.15 |
'폐렴구균' 이란? 폐렴구균 예방접종 접종대상 및 접종시기 (1) | 2023.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