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건강정보

물집이 생기는 다양한 원인들, '물집 터트리기' 괜찮을까?

by 건강을 배우는 사람들의 모임(건배사) 2024. 12. 22.
반응형

물집 터트리기

안녕하세요? 건배사 입니다. 오늘 건강 관련 포스팅 에서는 '물집 터트리기' 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물집' 이란? 물집이 생기는 원인

출처: freepik

물집이란, 피부의 세포 사이나 세포 안에 단백질 성분의 묽은 액체가 고여서 볼록하게 솟아오른 모양을 띄는데요, 말 그대로 피부 주머니에 림프액을 가득 품은 것이 바로 물집으로, 수포 라고 부를 수도 있겠습니다. 이러한 물집은 살면서 누구에게나 한번쯤 생기는 것으로 보통 금방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집은 우리몸 어디서나 나타날 수 있겠지만 특히 물집은 발가락이나 발꿈치, 발바닥에 많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물집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먼저 마찰을 들 수 있겠습니다.

오래 걷거나 평소보다 과하게 오랫동안 운동을 하거나, 손이나 발에 심한 마찰이 생기는 경우 물집이 생기기 쉬운데요, 우리의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찰로 인해 피부의 가장 바깥 층인 표피 세포가 파열되면서 단백질 성분의 묽은 액체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액체가 차면서 피부 표면이 팽창하게 되고, 표피 밑의 피부인 진피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좀더 자세한 예를 들어보면 신발을 신었을때 물집이 생기기 쉽고 또는 본인 사이즈보다 작거나 끼는 사이즈의 신발을 신었을 때에도 발에 물집이 생기기 쉽습니다. 이러한 상태는 우리 발이 밀폐되어 있고 고온다습한 상태인데 이때 물집이 특히 쉽게 생기게 됩니다. 

그밖에 물집이 생기는 원인 중 하나는 일광 화상으로, 지나친 자외선 노출로 인해 비감염성 염증 반응으로 함께 물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마찰이나 화상 뿐만 아니라, 한포진 경우 세균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물집이 생길 수도 있고, 면역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매우 피곤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할때에는 입술 주변에 헤르페스 물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물집 터트리기, 괜찮을까?

 

이처럼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 부위에 물집이 생길 수 있는데요, 보통 물집 속 액체는 색을 띄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만약 물집 액체 색깔이 노란빛을 띄거나 물집 주변이 빨갛게 되고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상태는 이미 물집 부위가 곪은 상태로 보셔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물집이 생겼을때 이걸 터트려서 액체를 빼야 하나, 가만히 놔둬야 하나 고민하실 텐데요, 물집 대처 방법은 말 그대로 물집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먼저 물집 크기 및 상태가 심하지 않고, 내가 물집으로 인해 느끼는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일부러 터트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만히 두면 보통 일주일 정도 지나서 물집이 저절로 사라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이 경우 물집을 억지로 터트리게 되면, 손상된 피부를 보호하고 무균 환경 상태를 보존하고 있던 물집이 사라지면서 2차 감염으로 이어져 물집을 터트린 상처 부위가 덧나거나 다른 질환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가만히 두시는 것이 좋고, 붕대나 밴드를 붙여서 물집을 더이상 마찰로 인해 자극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물집이 저절로 터져 액체가 흘러나온 상태라면 소독약으로 부위를 소독해 주시고, 솜, 거즈 등으로 물집이 터진 곳을 감싸 주시면 좋습니다.

 

만약 물집이 너무 크고 빵빵한 액체 때문에 불편하다면 물집 터트리기를 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이 경우 바늘을 깨끗하게 소독해 주시고 바늘에 실을 연결시켜 물집이 있는 곳에 바늘을 통과시켜 줍니다. 그렇게 되면 물집이 생긴 곳의 피부, 피부 껍질은 최대한 원래 상태 그대로 두면서 실이 물집이 있는 곳에 머물게 되는데요, 실이 액체를 빨아드리게 되어 물집 치료를 하게 됩니다. 절대 물집 터트린 곳의 피부를 뜯지 않고 가만히 두고, 그 위에 항생제 연고를 바르고 밴드를 붙여 놓으시길 바랍니다. 

만약 물집 액체가 묽은 색이 아니라 붉은 혈액 빛을 띄거나 검붉은 색을 띄는 경우는 혈액성 물집으로, 이러한 상태는 피부 깊숙한 곳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물집을 터트리지 마시고 최대한 가만히 두는 것이 제일 좋은 치료 방법으로, 일주일이 지나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는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로 하여금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