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배사 입니다
오늘 함께 알아볼 건강 이야기 주제는
아침에 잘 일어나는법 입니다
아침에 눈을 탁 떠서 일어날때의
그 기분!
그 기분에 따라 하루종일 컨디션 및 기분이
좌우되는 분들 많지 않으신가요?
이 이뉴는 우리 생체리듬과 관련되기 때문인데요
아침에 개운하고 상쾌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기억하셔야 할 몇가지 생활습관들이 있답니다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1. 항상 같은 시간에 기상하기
규칙적으로 항상 같은 시간에 기상하는 습관은
우리 건강에도 매우 좋은 습관이랍니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면
우리의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생체시계' 역시 규칙적으로 활동하게 되기 때문이죠
일정시간 규칙적인 기상이 계속된다면
우리의 뇌는 이를 기억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시간이 되기전
알아서 서서히 준비를 하게 되는데요
먼저 심부 체온이 서서히 상승하여
졸음이 오게 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감소시키게 되고,
교감신경 기능도 서서히 작동되도록 하여
얕은 수면으로 되게 됩니다
그후 REM 수면이 끝나고 얕은 논렘 몇분이 지나면
우리가 개운하게 기상할수 있게 되는 것이죠
만약 이시간 저시간 잠들고 기상하는
불규칙적인 생활을 한다면
우리 몸의 생체 시계 역시 불규칙적으로 활동하여
심부 체온이 낮고,
부교감신경 활동이 활발하며,
졸음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역시 분비가 활발하고
깊게 자고 있는 상태에
우리는 억지로 눈을 떠야 하죠
그렇게 되면 하루가 피곤하고
개운하지 못한 컨디션이 됩니다
2. 햇빛을 맞으며 기상하기
빛은 우리 몸이 각성하도록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기상하기 전에도 햇빛이 도움이 됩니다
만약 가족, 친구 등 함께 사는 사람이 있다면
내가 일어나는 기상시간보다
약 30분 전에 햇빛이 잘 들어오도록
커텐을 열기를 요청해 보세요
밝은 햇빛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해주기 때문에
좀더 상쾌하고 개운한 기상을 돕는답니다
3. 기상전 침실 온도 높이기
특히 겨울철에 해당되는 내용인데요
겨울은 기상하기 전에 필요한
체온 상승이 잘 되지 않는 계절이에요
침실 온도가 낮고 우리몸 체온 또한 낮다면
눈뜨기가 굉장히 힘듭니다
따뜻하고 포근한 침대에서 나오는게
매우 힘든거, 경험해보신적 있죠?
개운하고 상쾌한 기상을 위해서는
기상시간 약 30분전 침실을 따뜻하게 해주는게 좋습니다
이는 혈압이 높은 분들의
심장의 부담도 줄여주는 방법이기 떄문에 좋답니다
4. 기상후 스트레칭 하기
아침에 눈을 떴을 때에는
교감 신경계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불 속에서라도 간단한 스트레칭을 해주세요
기지개를 켜고 양다리를 교차하며 올리고 내리는 등
간단한 스트레칭 또한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우리의 움직임을 통한 자극이
뇌에도 전해지게 되어
뇌에 흐르는 혈액 양이 늘어나게 되고
뇌가 활동하기 좋은 상태가 되죠
5. 기상후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
그리고 나서는 교감신경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해주면 좋습니다
아침 샤워 경우 5분 내외로 짧게 해주시는게 좋고
머리도 이왕이면 감으시는게
개운한 아침맞이에 도움이 됩니다
온도는 매우 뜨거운 물 보다는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을 교대로 해주시면
우리의 뇌의 각성을 좀더 부추길수 있답니다
주말 푹 쉬시고,
다음주부터 한번 실천해보시는거 어떠실까요?^^
그럼 다음에 또 뵐게요~
'다양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질, 질환에 따라 잘 맞는 운동법 / 고혈압 환자가 하면 좋은 운동 / 관절염, 허리가 약한 분들이 하면 좋은 운동 / 기관지가 약할때 추천 운동 (0) | 2021.06.13 |
---|---|
덥고 지치고 기력없는 여름철! 다양한 보양식들 / 장어, 팥죽, 전복죽, 삼계탕, 추어탕 (0) | 2021.06.12 |
목이 칼칼하고 가래 때문에 답답할땐 ? 가래가 생기는 이유 / 가래 완화에 도움되는 방법들 (0) | 2021.06.10 |
나이별 치아 관리법 / 연령별 치아 관리법 /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장년층, 노년층 치아 관리법 (0) | 2021.06.08 |
갱년기란? / 갱년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들 (0) | 2021.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