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건강정보

저스틴 비버가 앓고 있다는 '램지헌트 증후군'

by 건강을 배우는 사람들의 모임(건배사) 2022. 6. 28.
반응형

램지헌트 증후군

안녕하세요? 건배사 입니다. 오늘 건강 관련 포스팅 에서는 '램지헌트 증후군' 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램지헌트 증후군' 이란?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은 팝스타, 저스틴 비버가 본인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앓고 있는 병에 대해 밝힌 뉴스를 접하신 분들이 있으실 텐데요, 바로 램지헌트 증후군 이라고 합니다. 그는 이 질환으로 인해 안면 마비를 앓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램지헌트 증후군 이란 Ramsay-Hunt syndrome 한국에서는 람세이 헌트 증후군 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귀 근처 안면 신경에 침투해 일부 안면마비 등을 유발하는 질환 입니다. 미국 희소질환기구에 따르면 매년 램지헌트 증후군에 걸리는 환자는 10만 명당 5명 정도라고 합니다. 귀 주변부 통증과 수포, 안면신경 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인 램지헌트 증후군은 1907년 J. Ramsay Hunt가  처음 보고하여서 이름을 따와서 이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램지헌트 증후군은 다양한 증상으로 인해 일상 및 업무에 지장을 줄 만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인데요, 원인 및 증상에 대해서 아래에서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램지헌트 증후군' 원인은?

 

램지헌트 증후군은 뇌 신경에 있는 수두 대상 포진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우리가 어릴때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수두가 발생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일부 바이러스 인자들은 신체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잠복 상태로 유지되는데요, 이렇게 잠복되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면 문제가 됩니다. 수두 대상 포진 바이러스가 늑간 신경으로 재활성화되면 대상포진으로 나타날수도 있고, 바이러스가 안면 신경이나 두개골 신경으로 재활성화되면 램지헌트 증후군으로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는 이유는 신체 방어력이 저하된 경우인데요, 면역 세포를 동원해야 하는 심각한 기저 질환이 있다거나, 백혈구와 면역글로불린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약을 복용한다거나, 코르티솔 분비량을 늘리고 백혈구 기능을 억제하는 과도한 스트레스, 정신적인 고통, 신경 과민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우리 신체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모습을 드러내면서 활성화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렸을때 수두를 앓았다고 해서 바이러스가 모두에게 재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희귀병으로 치고 있는 것이죠. 바이러스 재활성화 위험 요인은 면역력 저하, 60세 이상 고령이 꼽히고 있습니다. 

 

'램지헌트 증후군' 증상은?

 

램지헌트 증후군의 증상은 대부분 귀 근처, 눈가에 물집을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일부는 얼굴 한쪽이 내맘대로 움직일수 없는 말초 안면 마비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내가 눈을 감고 싶어도 한쪽 눈이 감기지 않고, 얼굴 반쪽은 울거나 웃을수 없는 표정 장애 증상 등을 예로 들수 있겠습니다. 또한 안면 통증, 이명, 청각 과민증, 미각 변화, 어지럼증, 현기증 증상들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램지헌트 증후군은  말초성 안면신경마비가 발생하는  원인 중에서 두번째로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전체 안면신경마비 중에서  램지헌트 증후군이  차지하는 빈도는  약 12%정도 라고 합니다.  

 

'램지헌트 증후군' 치료는 가능할까?

 

램지헌트 증후군 증상 중 귀 부위의 통증, 물집과 함께 안면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만약 치료가 늦어질 경우 영구적인 안면 마비나 청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을 방문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증상이 나타난 후 72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하면 완치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램지헌트 증후군에  의한 안면신경 마비는  그 원인이 명확하고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투여도 가능하므로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병행한다면 환자의 증상 회복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의학논문에 의하면 약 70.4%의 환자들에서 적절한 치료 이후 안면신경 마비 증상이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램지헌트 증후군 증상들의 진행 기간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인데 대체로 증상들이 가라앉으려면 약 3~4주 정도가 걸린다고 하며, 완전한 회복을 위해서는 몇달이 걸릴수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램지헌트 증후군 경우 특별한 예방 방법은 없지만 평소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피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