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건강정보

'소아 뇌전증' 의심 증상들, 소아 뇌전증 응급 대처법

by 건강을 배우는 사람들의 모임(건배사) 2022. 9. 13.
반응형

소아 뇌전증

안녕하세요.? 건배사 입니다. 오늘 건강 관련 포스팅 에서는 '소아 뇌전증' 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아 뇌전증' 이란?

 

우리가 흔히 ‘간질’ 이라고 부르는 질환인 ‘뇌전증’ 은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소아 뇌전증 이라고 부르는데요, '소아 뇌전증’은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신경계 질환 중 하나로, 뇌전증이라고 하면 뇌 신경세포가 짧은 시간 동안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를 보내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뇌 신경세포들이 갑자기 무질서하게 과흥분하면서 발생하는 발작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소아들 경우 빨리 뇌전증을 치료해야 뇌 발달이 정상적으로 되기 때문에 특히 의심증상을 잘 알아두고 조속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소아들의 뇌전증을 방치하여 치료가 늦어지게 되면 뇌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평생 지적장애를 가지고 살아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아이들은 자라면서 뇌가 구조적, 기능적으로 성숙하게 되지만, 뇌전중 발작을 하면 허혈성 뇌 손상이 지속적으로 생길 수 있는데 뇌전증 발작 자체가 뇌 발달을 막을 수 있어서 평생동안 지적 장애가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높습니다.

 

 

 

'소아 뇌전증' 원인은?

 

먼저 뇌전증은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명확한 한가지의 발병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뇌전증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선천적인 뇌의 기형, 뇌종양, 머리 외상 등에 의한 구조적 이상, 유전적 이상, 중추신경계 감염 후 손상, 대사 질환, 면역 질환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소아 뇌전증' 원인은 어떠할까요? 성인들과 차이점이 있을까요? 성인과 소아는 뇌전증 원인에 차이가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성인의 경우는 앞서 살펴본 발병요인들 중에서 뇌종양, 뇌졸중, 외상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소아 뇌전증의 경우는 뇌 형성 단계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즉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추정되고 있는데요, 뇌 신경세포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못한 ‘대뇌피질 이형성증’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뇌가 다 성숙한 성인들 경우 뇌전증 때문에 뇌신경에 다른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적지만, 소아들 경우는 앞서 설명드린대로 뇌전증을 빠르게 치료를 못하면 뇌신경 발달 자체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소아 뇌전증' 의심 증상들

뇌전증이란 특별한 원인 없이 나타나는 비유발 발작이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2회 이상 발생하는 증상을 보입니다. 또 비유발 발작이 1회만 있다고 하더라도 발작이 재발할 확률이 60% 이상 높을 것으로 예상되거나, 뇌전증 증후군으로 진단될 수 있는 발작이 있다면 뇌전증으로 진단을 하게 되는데요, 발작 증상 경우 전신이나 일부분의 경련부터 감각이상까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뇌전증의 발작은 아무 때나, 어느 곳에서든 일어날 수 있고,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대발작의 경우, 정신을 잃고 쓰러지면서 전신이 뻣뻣해지고,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고 입술과 몸에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고, 흔히 거품을 문다라고 표현하는 것처럼 입안에 다량의 분비물이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평소에 잘 놀던 아이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거나, 온몸 또는 팔 다리의 일부가 굳어지거나 규칙적으로 떠는 증상, 또는 멍해지거나 청색증 등을 보이면 소아 뇌전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유 없는 발작이 하루 이상 간격 두고 2번 이상 나타날때 소아 뇌전증을 의심하셔야 하며, 또 돌 전에 아기들이 갑자기 팔다리를 쭉 뻗거나 웅크리는 행동을 지속적으로 한다면 소아 뇌전증을 의심하셔야 합니다.


 

 

'소아 뇌전증' 치료법은?

모든 뇌전증 치료의 첫 단계는 약물치료로, 전체 환자의 약 70-80%는 일반적인 약물치료로 발작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소아 뇌전증 또한 약물로 치료 또는 조절 가능한 환자들이 대다수 약 70~80% 으로 보고 있습니다. 약물은 항경련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하게 되고, 만약 약물로도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라면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난치성이기 때문에, 뇌 정밀 검사를 통해서 뇌에서 과흥분이 발생하는 시작 부위를 살핀후, 이 부위를 제거하는 등의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수술 치료법 경우 뇌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는 수술로 제거할 경우 큰 장애를 남길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뇌전증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아 뇌전증' 대처법

 

만약 아이가 갑자기 발작을 일으킨다면 당황하지 마시고 응급 대처법을 숙지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먼저 발작이 시작되면 아이의 몸이나 고개를 옆으로 돌려주어 호흡을 안정시켜 주세요. 아이가 혀를 깨물고 있다면 수건을 물려서 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해주세요. 만약 발작이 수분 동안 멈추지 않으면 빠르게 앰뷸런스를 불러주세요. 

 

 

'소아 뇌전증' 환자들의 생활수칙

과로, 수면 부족은 뇌전증 발작을 유발할 있으므로 아이가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갖도록 유도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약을 규칙적으로 먹도록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발작 증상은 언제 어디서나 갑자기 나타날 있기 때문에 만약 화장실을 사용할 때에는 문앞에사용중이라는 표지판을 걸어서 부모님들이 항상 주의를 기울일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목욕은 아이 혼자 하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여행을 떠날 때에도 무리한 스케쥴을 잡지 마시고, 약을 챙겨서 여행가방을 준비하시기 바라며, 아이 혼자 보내는 여행은 하지 않습니다. 운동 경우, 발작 위험성이 있는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잠수하기, 높은 철봉하기, 정글짐 등은 피해야 하는 운동에 속하며, 추천하는 운동들은 부모님과 함께하는 달리기, 체조하기, 축구, 배구, 농구, 자전거 타기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