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약
안녕하세요.? 건배사 입니다. 오늘 건강 관련 포스팅 에서는 '색약 ' 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색약 이란?
요즘 매우 핫한 넷플릭스의 인기 시리즈 더 글로리 모두들 보셨나요? 빌런 캐릭터 중 한 남자 캐릭터는 렌즈를 끼며 눈을 관리하는 장면을 종종 보이는데요, 바로 '색약' 질환 때문이라고 하죠. 색약은 색에 대한 감각이 저하되어 특정한 색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을 말하는데요, 색약이 정확히 무엇인가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 시세포에 대해 먼저 알아보아야 합니다.
카메라에서 필름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눈에는 망막이 있죠. 이 망막에는 ‘시세포’ 가 있는데요, 이 시세포가 물체의 상이 망막에 맺혔을때 가장 먼저 자극을 받아 시각에 대한 저보를 수집하게 되는 세포 입니다. 시세포는 어두운 곳에서 색을 감지하는 막대세포, 밝은 곳에서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있습니다. 이 중 원추세포는 빨강, 초록, 파랑을 감지하여 구별하는 역할을 하죠. 이 원추세포의 이상으로 인하여 색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구분이 어려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바로 색약이 이것입니다.
색약은 정상인과 같이 적색, 녹색, 청색 3가지의 원추세포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이중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원추세포가 부실해서 해당되는 색이 다른 색과 섞여 있을 때 그 색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즉 색약은 색깔을 어느정도 식별할 수는 있지만 일반인에 비해서는 구분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인데,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의하면 한국 남성의 약 5.9%, 여성의 약 0.4%가 색약 이라고 합니다.
색약 원인
이러한 색약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색약을 크게 선천적 색약과 후천적 색약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선천적 색약은 태어날 때부터 시세포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입니다. 즉 태고나면서부터 색약 원인을 갖고 태어나는 경우로 대부분 선천적으로 염색체 이상에 의해 유전됩니다. 후천적 색약은 당뇨 등 만성 질환, 망막 및 시신경 손상, 망막 질환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색약 증상
색약은 기능이 약해진 원추세포의 형에 따라 적색약, 녹색약, 청색약 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중 가장 발병률이 높은 것은 녹색약으로, 그 다음은 적색약이고, 청색약 경우 매우 드문 케이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색약 중 흔한 녹색약, 적색약 증상을 설명해 드리자면, 이 경우 녹색이나 적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 기능이 약하지만, 아예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신호등같이 녹색, 적색이 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 또는 각각 한가지 색깔이 있을 경우는 색을 구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녹색과 적색이 붙어 있는 경우는 색을 잘 알아보기 힘든데요, 이때 녹색약인 경우는 녹색을 좀더 진하게 칠해줘야 녹색/ 적색을 구별할 수 있고, 반대로 적색약인 경우는 적색을 더 진하게 칠해야 녹색/적색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보통 적색약인 사람과 녹색약인 사람이 보는 색깔의 양상이 비슷하여 적색약과 녹색약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적녹색약’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색약 치료, 정말 렌즈로 가능할까?
이처럼 색약 환자들은 색을 구분할 수 있지만 특정 색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요, 사실 일상생활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멀리 떨어진 물건의 색이나 채도가 낮은 색은 구별하지 못하거나 빨리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색약 경우 선천적 색약은 타고날때부터 원추세포 기능이 약한 경우이기 때문에 사실 완전한 치료나 훈련을 통한 극복은 힘듭니다. 또 망막질환이나 녹내장 등 질환으로 인해 후천적 색약이 발생한 경우에는 정밀검사를 통해 원인 질환을 치료할 경우 색약도 호전된다 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선천적 색약처럼 타고난 색 구별 능력은 쉽게 치료할 수 없는데, 색약 전용 렌즈를 착용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바로 앞서 언급한 드라마 캐릭터의 렌즈처럼 말이죠. 색약 환자분들 대부분은 적록색약으로, 색약 교정 렌즈도 보통 녹색 또는 적색을 띄게 됩니다. 또는 동공 부분에만 색을 넣어 색약을 교정하는 렌즈도 있습니다.
'다양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충제 복용시기' 구충제 꼭 먹어야 할까? 가족들과 함께 복용해야 하는 이유 (0) | 2023.01.14 |
---|---|
'갑상선유두암' 의심 증상 및 치료법 (0) | 2023.01.13 |
'무릎 구부릴때 통증' 이 나타난다면? " 반월상연골판 파열 " (0) | 2023.01.08 |
'백혈구 수치 낮으면 ? 백혈구 감소증 (0) | 2023.01.07 |
치매와 헷갈릴 수 있는 '섬망' 증상, 섬망 환자 대처법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