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눈 생기는 이유
안녕하세요.? 건배사 입니다. 오늘 건강 관련 포스팅 에서는 '티눈 생기는 이유' 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티눈' 이란
티눈은 원뿔 형태의 국한성 각질비후증 질환인데요, 좀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발의 한 부분이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게 되면 각질이 만들어지는데 이 각질이 원뿔 모양으로 피부에 막히게 되어 딱딱하게 되죠. 티눈의 형태는 원뿔의 바닥면이 피부 표면에 위치하고 꼭지가 피부 안쪽으로 향하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티눈사이즈는 보통 지름 0.3~0.5mm로 색깔은 희고 특징은 티눈 중심 부분에 단단한 중심핵이 관찰된다는 것입니다. 티눈 발병률을 보자면 10만명당 환자는 10대가 1221명으로 가장 많다고 하고, 그 다음으로는 20대들, 그리고 노인분들 이라고 합니다. 왜 청년층에게서 티눈이 잘 발병하는가에 대하여 전문가들은 10대, 20대들 경우 활동량이 많고, 성장이 빨라서 발도 금방 자라기 때문에 신발이 발보다 작은 경우가 많죠. 이렇게 작은 신발에 의해 발이 압력, 마찰을 겪으면서 티눈이 잘 생기기 쉽다고 보고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티눈 발병률 경우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많다고 하는데요, 특히 군대에서 신는 군화로 인해 티눈이 생긴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티눈' 이 생기는 원인
티눈은 보통 발을 비튼다거나 지속적인 마찰력에 의해서 생기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발사이즈 보다 좀더 작은 신발을 오래 신는다거나 이로 인하여 발가락끼리 계속 부딪치는 경우 등 특정 부분에 비정상적인 마찰과 압력이 집중될 때 티눈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구조적 변형이나 생화학적 결점이 있는 발 부위에 티눈이 잘 생기기도 합니다. 여성분들 경우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보통 하이힐을 신게 되면 티눈이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또 특히 봄철 티눈 환자가 많다고 하는데요, 추웠던 날씨가 풀리면서 사람들이 야외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이죠. 특히 등산을 할때 신는 등산화 경우 발의 특정 부분을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어 티눈의 발병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티눈' 증상 및 많이 발생하는 부위
티눈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발바닥, 발가락 끝부분, 새끼발가락 측면, 돌출된 관절 표면, 손바닥, 손등 등이 있습니다. 티눈은 크게 연성 티눈과 경성 티눈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연성 티눈은 주로 발가락 사이에 발생하는 티눈으로, 특히 넷째와 다섯째 발가락 사이에 잘 생깁니다. 발가락 사이의 땀 때문에 짓무르기 쉬워서 부드러운 편입니다. 경성 티눈은 발등, 발가락에 생기기 쉬운 티눈으로 표면에 윤이 나는 것이 특징이고, 윗부분을 깎으면 중심핵이 보이는 티눈입니다. 티눈은 티눈이 발생한 부위는 무딘 느낌이나 날카로운 통증이 계속 느껴질 수 있고, 특히 보행시 통증을 느끼게끔 하고, 염증, 물집, 감염, 궤양, 혈관염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티눈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발모양도 이상하게 될수도 있고, 통증이 더욱 악화될수도 있으며, 티눈 부분이 아파서 올바른 자세로 걷기 힘들어 잘못된 자세로 계속 걷게 되면 허리 통증으로 이어질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티눈 아래 점액낭염이 발생하거나, 피부표면의 물집이 만들어질수도 있고, 특히 관절 부위에 있는 티눈은 감염성 관절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 경우 당뇨발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수도 있기 때문에 꼭 치료를 해주셔야 합니다.
'티눈' 치료법
지름이 고작 0.3~05.mm 정도로 매우 작은 사이즈이지만 제대로 치로를 하지 않으면 매우 성가신 티눈은 재발가능성도 높은 질환이기 때문에 제때 치료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티눈 치료법으로는 레이저, 냉동치료, 살리실산 도포, 살리실산 반창고 등이 있습니다. 만약 티눈 부위에 뼈가 돌출이 되어 있거나 피지 낭종같은 양성 종양이 있는 경우 수술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티눈은 문제가 되었던 압력, 마찰 상황이 제거되면 자연적으로 완화될수도 있기 때문에, 최대한 티눈이 발생한 부위에 마찰,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는게 좋습니다. 예를 들면 발에 꼭 끼는 신발이나 작은 신발은 신지 마시고, 신발 앞코와 볼이 넓고 편안한 신발을 신어주시고, 굽이 높은 신발을 피해주시고, 또 신발을 신을때 폭신한 패드를 대서 발을 보호해 주시면 압력을 줄일수 있습니다.
'다양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진탕 초기증상, 뇌진탕 후 조심할 것들 (0) | 2022.04.10 |
---|---|
'볼거리 증상' 볼거리 (유행선 이하선염) (0) | 2022.04.06 |
허리둘레 재는법, 허리둘레와 건강 관계 (0) | 2022.04.04 |
입안에 계속 염증이 난다면? '베체트병' 증상들 (0) | 2022.04.03 |
백혈병 초기증상. 멍이 쉽게 들고 출혈이 자주 나타난다면? (0) | 2022.04.02 |
댓글